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일본의 소설가 나쓰메 소세키가 쓴 소설로, 고양이의 시점에서 인간 사회를 풍자적으로 묘사한다. 소설은 고양이 '나'가 중학교 영어 교사인 구샤미 선생의 집에서 겪는 일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일상과 갈등을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구샤미, 그의 친구 메이테이, 제자 미즈시마 간게쓰 등이 있으며, 사업가 가네다와 그의 가족과의 갈등, 간게쓰의 혼담 문제 등이 주요 사건으로 전개된다. 1904년부터 1908년까지를 배경으로 하며, 작품은 발표 당시부터 큰 인기를 얻어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쿄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사나이 오이동
마쓰모토 레이지의 만화 《사나이 오이동》은 1970년대 도쿄의 가난한 하숙집에서 극빈 생활을 하는 오이동의 삶과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자전적 작품으로, 긍정적이고 강인한 주인공과 따뜻한 관계를 통해 삶의 의미를 보여주며 작가의 초기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분쿄구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안녕, 절망선생
《안녕, 절망선생》은 쿠메타 코지가 쓰고 그린 만화로, 절망한 교사 이토시키 노조무와 긍정적인 소녀 후우라 카후카, 개성 강한 학생들이 사회 문제의 단면을 코믹하게 그려낸 작품이며, 현대 사회와 레트로 분위기가 혼재된 세계관, 다양한 패러디와 사회 풍자가 특징이다. - 나쓰메 소세키 - 문 (소설)
문 (소설)은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로, 주인공 노나카 소스케와 아내 오요네의 죄책감과 갈등, 자기 인식에 대한 고뇌를 다루며, 니체의 저작에서 제목을 가져왔다. - 나쓰메 소세키 - 우미인초
우미인초는 고노 후지오 등을 중심으로 등장인물 간의 갈등과 비극적인 결말을 그리는 작품으로, 영화와 드라마로 여러 차례 제작되었다. -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 문 (소설)
문 (소설)은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로, 주인공 노나카 소스케와 아내 오요네의 죄책감과 갈등, 자기 인식에 대한 고뇌를 다루며, 니체의 저작에서 제목을 가져왔다. -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 행인 (소설)
《행인》은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로, 형의 부탁으로 형수의 정절을 시험하려던 주인공이 겪는 심리적 갈등과 가족 간의 갈등을 다루며, 미겔 데 세르반테스와 단테 알리기에리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아 1912년부터 1913년까지 아사히 신문에 연재되었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원제 | Wagahai wa Neko de Aru () |
번역가 | 아이코 이토와 그레임 윌슨 |
![]() | |
장르 | 풍자 소설 |
국가 | 일본 |
언어 | 일본어 |
출판 정보 | |
출판일 | 1905–1906년 |
영어 출판일 | 1961년 겐큐샤 |
출판사 | 핫토리 서점, 오쿠라 서점 등 |
기타 정보 | |
쪽수 | 상권 290쪽, 중권 238쪽, 하권 218쪽 |
ISBN | 978-0-8048-3265-6 |
등장인물 | |
주인공 | 와가하이(고양이) |
주인 | 구샤미 |
영화 정보 (영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 |
장르 | 영화 |
2. 줄거리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이름은 아직 없다. 어디에서 태어났는지 전혀 짐작이 가지 않는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여, 중학교 영어 교사인 진노 쿠샤미(珍野苦沙彌)의 집에서 길러지는 고양이인 "와가하이"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2] 고양이는 진노 일가와 그곳에 모이는 그의 친구 및 제자들, 그리고 "태평의 은사"의 인간 모습을 풍자적이며 희작적으로 묘사한다.
이 소설에는 주인공 고양이 '나'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과 동물들이 등장한다.
소설은 거만하고 냉소적인 고양이 화자가 다양한 중산층 일본인들의 삶을 묘사한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고양이 주인인 진노 쿠샤미(珍野苦沙彌|진노 구샤미일본어)와 그의 가족, 구샤미의 수다스럽고 짜증나는 친구 메이테이(迷亭), 사업가의 버릇없는 딸 가네다 도미코(金田富子), 그리고 도미코와 결혼을 놓고 갈등하는 젊은 학자 미즈시마 간게쓰(水島寒月)가 있다.
3. 등장인물 및 동물
이름 설명 나 (吾輩|와가하이일본어) 구샤미 선생이 키우는 수고양이로, 소설의 화자이다. 1904년에 태어나 옅은 회색 바탕에 검은 반점 무늬를 가졌다. 인간을 관찰하고 철학적인 사색을 즐기다 맥주에 취해 물독에 빠져 죽는다.[30][31][32] 미케코 (三毛子일본어) 이현금 선생이 키우는 암코양이로, 나의 이웃에 산다. 나를 "선생님"이라 부르며 연정의 대상이었으나 감기로 죽는다. 인력거꾼네 깜둥이 (車屋の黒|구루마야노 구로일본어) 검고 큰 수고양이로, 난폭하여 나가 무서워한다. 생선 가게에서 다리를 다친다. 백 군인의 집에 사는 고양이로, 나에게 존경받는다. 새끼 고양이 4마리가 버려져 슬퍼한다. 구샤미 (珍野 苦沙弥|진노 구샤미일본어) 나의 주인인 중학교 영어 교사이다. 나쓰메 소세키가 모델로 추정되며, 세 자녀를 둔 가장이다. 노이로제와 위장병을 앓는다. 메이테이 (迷亭일본어) 구샤미의 친구인 미학자이다. 거짓말과 궤변을 즐긴다. 미즈시마 간게쓰 (水島 寒月|미즈시마 간게쓰일본어) 구샤미의 옛 제자이자 과학자이다. 데라다 도라히코가 모델로 알려져 있다. 도후 (越智 東風|오치 도후일본어) 간게쓰의 친구인 시인이다. 아마기 선생 (甘木先生일본어) 구샤미의 주치의이다. 가네다 (金田일본어) 구샤미의 앙숙인 사업가이다. 하나코 (金田 鼻子|가네다 하나코일본어) 가네다의 부인으로, 큰 코 때문에 나에게 하나코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도미코 (金田 富子|가네다 도미코일본어) 가네다의 딸로, 이기적이다. 스즈키 도주로 (鈴木 籐十郎일본어) 구샤미와 메이테이의 동창생으로, 가네다의 사주를 받는다. 다타라 산페이 (多々良 三平일본어) 구샤미의 전 서생으로, 법대 졸업 후 회사원이다. 야기 도쿠센 (八木 独仙일본어) 염소수염을 기른 철학자이다. 유키에 (雪江일본어) 구샤미의 조카딸이다. 치노 부인 구샤미의 부인으로, 이름은 없다. 나쓰메 쿄코가 모델로 여겨진다. 톤코, 슨코, 멘코 구샤미의 세 딸들이다. 오산 치노가의 하녀로, 사이타마현 출신이다. 나를 싫어한다. 이현금의 스승 미케코의 집주인이다. 후루이 부에몬 치노의 감독 하의 중학생이다. 요시다 토라조 경시청 소속 형사 순사이다. 도둑 음사 미즈시마 간게쓰와 닮은 절도범이다. 얏짱 차집의 아이로, 가네다의 의뢰를 받는다. 마키야마 시즈오카현에 사는 메이테이의 백부로, 한학자이다.
3. 1. 주요 등장인물
: 소설의 화자이자 구샤미 선생이 키우는 고양이이다. 인간들을 관찰하고 비판한다.
: '나'의 이웃집에 사는 이현금(二弦琴) 선생이 키우는 암코양이이다. 주인공을 〈선생님〉이라고 부른다.
: 검고 몸집이 큰 숫고양이이다. 무식하고 난폭하여 주인공이 무서워한다.
: 중학교 영어 교사이며 고양이 '나'의 주인이다. 세 명의 자식을 두었다. 나쓰메 소세키 자신을 모델로 한 것으로 보이며, 신경질적이고 위장병을 앓고 있다.[2]
: 구샤미의 친구이자 미학자이다. 거짓말과 궤변으로 다른 사람을 속이는 것을 즐긴다.
: 구샤미의 옛 제자이자 과학자이다. 데라다 도라히코가 모델이라고 하며, 가네다 도미코와의 혼담 문제로 갈등한다.
: 간게쓰의 친구로 시인이다.
: 구샤미의 주치의이다.
: 구샤미의 앙숙인 사업가이다.
: 가네다의 부인이다. 매우 큰 코 때문에 고양이가 〈하나코(鼻子)〉란 별명을 붙였다.
: 가네다의 딸이며, 어머니를 닮아 이기적인 아가씨이다.
: 구샤미와 메이테이의 동창생이다. 가네다 집안의 사주를 받아 구샤미의 동정을 살핀다.
: 구샤미의 서생이었으나 법대 졸업 후 회사에 다니고 있다.
: 염소수염을 기른 철학자이다. 의미 불명의 경구를 내뱉지만 아무도 알아듣지 못한다.
: 구샤미의 조카딸이다.
3. 2. 주변 등장인물
가네다(金田일본어)는 구샤미의 앙숙인 사업가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샤미를 괴롭힌다.[2] 가네다의 부인 하나코(金田 鼻子|가네다 하나코일본어)는 자기 딸과 간게쓰와의 혼담 문제로 구샤미의 집에 왔다가 거만한 태도로 인해 냉대를 받는다. 코가 매우 거대해서 고양이가 '하나코(鼻子)'란 별명을 붙였다.[2] 가네다의 딸 도미코(金田 富子|가네다 도미코일본어)는 어머니를 닮아 이기적인 아가씨이다.[2]
스즈키 도주로(鈴木 籐十郎일본어)는 구샤미와 메이테이의 동창생으로, 가네다 집안에 출입하면서 그의 사주를 받아 구샤미의 동정을 살핀다.[2] 다타라 산페이(多々良 三平일본어)는 구샤미의 전 서생이었으나 법대 졸업 후 회사에 다니고 있다.[2]
3. 3. 동물
이현금 선생의 집에 사는 암고양이이다.[33] 주인공 '나'의 이웃집에 살며, 언제나 '나'를 "선생님"이라고 부른다. '나'의 친구이자 연정의 대상이지만, '나'가 자신을 좋아한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한다. 감기에 걸려 죽게 된다.[33]
검고 몸집이 큰 수고양이이다. 매우 난폭한 성격으로 주인공 '나'는 깜둥이를 무서워한다. 하지만 생선 가게에서 지렛대로 맞아 다리가 불편해진다.[33]
군인의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이다. '나'에게 존경받는다. 아기 고양이 4마리를 낳았지만 모두 서생에게 버려진 것을 슬퍼한다. 제3화 이후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4. 작품 배경 및 구성
吾輩|와가하이일본어는 고양이인 "나"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나"는 중학교 영어 교사인 진노 쿠샤미의 집에서 길러지고 있으며, 진노 일가와 그곳에 모이는 친구 및 제자들의 모습을 풍자적이며 희작적으로 묘사한다.[10]
소세키는 하이쿠잡지인 호토토기스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이 잡지에서는 소설도 활발하게 다루어졌다. 다카하마 쿄시의 권유로 소세키도 소설을 쓰게 되었다.[11][12]
현재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제1화에 해당하는 부분은 처음에는 한 편으로 완결될 수 있도록 집필되었고, 1904년 12월에 낭독되어 호평을 받았다. 그래서 제1화는 단독으로 종료해도 괜찮은 형태로 정리되었다.[13][14] 다카하마 쿄시가 소세키의 허가를 얻어 수정하고 제목을 결정하여, 1905년 1월에 호토토기스에 발표했다.[13][15][16] 이것이 호평을 받아 쿄시의 권유로 이듬해 8월까지 총 11회 연재되었고, 호토토기스는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13][17]
이야기되는 화제 중 일부는 소세키의 일기나 단편에서 유사한 기술이 발견되어, 소세키가 매일 구상했던 것을 작품화한 것으로 보인다.[18][19] 예를 들어, 한게츠의 투신자살 이야기는 사무카와 소코츠에게서, "목 매달기의 역학"은 테라다 토라히코에게서 들은 것이다.[20] 그 외에도 고대 그리스 문학부터 당대의 메이지 문학 및 영국 문학까지 광범위하게 취재·인용되었다.[21]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스턴이나 스위프트 등 중세 유럽의 "탈선 문학"의 전통을 계승한 작품으로, 줄거리나 스토리다운 것은 없다.[53][54] 모리타 소헤이에 따르면, 이 작품은 즉흥적으로 쓴 것이 세상의 평판이 좋아 계속 써내려간 것으로, 이야기를 늘이기 위해 나중에 덧붙인 듯한 부분이 있다고 한다.
작품에는 격언과 같은 작가의 에스프리가 풍부하게 담겨 있으며, 만담조나 7·5조 등 낭독했을 때 듣는 사람에게 인상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었다.[56]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1화:''' "나"는 처음 기억하는 것이 으슥하고 축축한 곳에서 야옹야옹 울었던 것이다. 인간에 대해서는 주인의 언행으로 제멋대로라고 판단한다.
- '''제2화:''' 독자로부터 온 편지 소개, 칸게츠와 구샤미의 외출, "나"는 삼모를 만나러 가서 스승의 유래를 듣는다.
- '''제3화:''' 카네다의 아내가 칸게츠의 일을 물으러 와서, 칸게츠가 박사가 되지 않으면 딸 토미코와 결혼시키지 않겠다고 한다.
- '''제4화:''' "나"는 카네다 저택에 잠입한다. 구샤미 부부는 말다툼한다.
- '''제5화:''' 구샤미 집에 도둑이 든다. "나"는 쥐 잡기에 실패한다.
- '''제6화:''' 메이테이는 모자와 만능 가위를 자랑하고 소바를 먹는다. 칸게츠, 메이테이, 도후에 의한 연애 담론, 여성론.
- '''제7화:''' "나"는 운동하고, 공중 목욕탕을 엿본다. 오마치 케이게츠의 권유로 구샤미는 술을 네 잔 마신다.[63]
- '''제8화:''' 라쿠운칸 중학교 학생이 구샤미 저택의 정원에 야구공을 쳐 넣고, 구샤미는 격분한다.
- '''제9화:''' 구샤미는 곰보와 수염을 신경 쓴다. 메이테이가 숙부인 마키야마와 함께 구샤미 저택을 방문한다.
- '''제10화:''' 구샤미는 세키군에게 깨어나 딸들과 아침밥을 먹고 니혼즈츠 분서에 도난품을 받으러 간다.
- '''제11화:''' 주요 인물의 회합, 칸게츠의 바이올린 이야기. "나"는 맥주를 마시고 취해 물독에 빠져 익사한다.
주인공 '와가하이'의 모델은 소세키가 37세 때 집에 들어와 살게 된 검은 고양이이다.[13] 이 고양이는 1908년 9월 13일에 사망했고, 소세키는 고양이의 묘비를 세우고 서재 뒤 벚나무 아래에 묻었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가 집필될 당시 소세키의 저택은 도쿄 시 혼고구 고마고메 센다기초 (현 분쿄구 무코가오카 2초메)에 있었다. 이 집은 메이지무라로 이축되어 공개되고 있다.

1905년 1월에 제1장에 해당하는 부분이 발표되었고, 그 후 1905년 2월(제2장), 4월(제3장), 5월(제4장), 6월(제5장), 10월(제6장), 1906년 1월(제7장 및 제8장), 3월(제9장), 4월(제10장), 8월(제11장)에 게재되었다.
5. 작품의 특징
는 일본에서 실제 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이 책 덕분에 소설에서는 살아남아, 주로 오만하고 젠체하는 의인화된 동물들에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마리오' 비디오 게임의 거북이 왕 적 캐릭터인 쿠파는 를 사용하며, 페르소나 5의 고양이 캐릭터인 모르가나도 마찬가지이다.[3]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이름은 아직 없다. 어디에서 태어났는지 전혀 짐작이 가지 않는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여, 중학교 영어 교사인 진노 쿠샤미의 집에서 길러지는 고양이인 "와가하이"의 시점에서, 진노 일가와 그곳에 모이는 그의 친구 및 제자들, "태평의 은사" (제2화, 제3화)의 인간 모습이 풍자적이며 희작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작중에는 격언과 같은 작가의 에스프리가 풍부하게 뿌려져 있으며, 만담조나 7·5조 등 낭독했을 때 듣는 사람에게 인상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56] 참가 그룹이나 연재 잡지가 호토토기스라는 점은 경시할 수 없으며 본작에 포함된 하이카이 취미는 중요한 논점이라는 지적이 있다.[57][58]
6. 작품의 영향 및 평가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는 일본 학생들에게 자주 주어지는 과제여서, 출판된 지 오래 지난 후에도 줄거리와 문체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 영향으로, 작중 화자의 말투는 글을 쓸 당시에도 고풍스러웠음에도 불구하고 고양이와 책에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화자가 선호하는 인칭대명사인 는 일본에서 실제 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이 책 덕분에 소설에서는 살아남아 주로 오만하고 젠체하는 의인화된 동물들에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많은 마리오 비디오 게임의 거북이 왕 적 캐릭터인 쿠파는 를 사용하며, 《페르소나 5》의 고양이 캐릭터인 모르가나도 마찬가지이다.[3]
7. 한국어 번역 및 판본 정보
吾輩は猫である|와가하이와 네코데아루일본어 유유정 역, 문학사상사, 1997.
吾輩は猫である|와가하이와 네코데아루일본어 송태욱 역, 현암사, 2013.
8. 각색
이 소설은 여러 차례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영화'''
- 1936년: 제1차 세계 대전 말을 배경으로 결말을 수정하여 제작되었다.
- 1975년: 이치카와 콘 감독이 제작하여 일본 극장에서 개봉되었다.[75]
- '''애니메이션'''
- 1982년: 닛세이 패밀리 스페셜에서 텔레비전 스페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역할 | 성우 |
---|---|
와가하이 | 야마구치 료이치 |
쿠로 | 나베오사미 |
친노 쿠샤미 | 사카가미 지로 |
미즈시마 칸게츠 | 노자와 나치 |
카네다 | 자이츠 이치로 |
참조
[1]
웹사이트
Soseki's Cat: A Quantum Leap for Japanese Literature
https://www.redcircl[...]
2021-09-10
[2]
문서
This is the spelling used in the abridged translation by Aiko Itō and Graeme Wilson.
[3]
웹사이트
Tricky Translations #4: 'I' & 'Me' in Japanese
https://legendsofloc[...]
2019-06-01
[4]
문서
この「吾輩」という語に対置する英語表現として、漱石自身は「帝王のWe」を充てていると考えられる。昭和42年版「漱石全集」第16巻「補遺」採録「(自著を贈る言葉)-ヤングへ贈れる『吾輩は猫である』の上巻見返しに」によれば、本小説の猫について Herein, a cat speaks in the first person plural, we. Whether regal or editorial, it is beyond the ken of the author to see.(ここでは、猫は一人称複数のWeで話しています。この用法が君主的なものなのか、主筆的なものなのかは、作者の理解を超えています。)とし、直後に this feline King(この猫の大王)と、漱石により説明されている。
塚本利明
2007
[5]
문서
「わがはい」については辞書的には単複いずれの用例もあり(コトバンク「我が輩」)、北澤尚(他)によると「明治30年代以降・・・自称詞によってステータスを誇示するためには・・・「わがはい」が最も相応しかったと考えられる。しかしその一方で・・・話し言葉としては対等の聞き手に対してだけでなく目下の聞き手に対しても拡張して使用されるようになって・・・一部の政治家や軍人や啓蒙家たちを除いて…別の自称詞を代替的に使用するようになっていったことが予想される。」「猫の視点からの一人称の語りを講演速記や談話速記の延長線上に位置づけるなら、人間一般を見下し諷刺する猫の尊大さを強く印象付けるには「わがはい」は最適であったことだろう。また猫の使用する「わがはい」は、明治30年代後半における総合雑誌『太陽』等における政治家や啓蒙家たちによる講演速記や談話速記の語り口を喚起させたはずである。」と解説する。
北澤尚, 祁福鼎, 趙宏
2010
[6]
백과사전
吾輩は猫である
https://kotobank.jp/[...]
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7]
백과사전
吾輩は猫である
https://kotobank.jp/[...]
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8]
백과사전
吾輩は猫である
https://kotobank.jp/[...]
平凡社 改定版世界大百科事典
[9]
서적
あるいは「落語」(高等落語)的
集英社文庫「吾輩は猫である」下
[10]
문서
山会というのは「子規が文章には山がなければいかんという事をいったのが初めで、文章会の事を山会と称え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りますが、その山というのは、主として滑稽な事が多かったのであります。たとえば、各々自作の文章を朗読するのでありますが、その朗読する時にあたって、聞いている者が、覚えず噴き出すといった、それが恰も落語家が高座に上って話をする時分に、聴衆がドッと笑う、その笑うところが即ち話に山がある。その落語の山のような山が、文章にはなければならん、という子規の主張があったのであります。必ずしも滑稽に限ったことではないのでありますけれども、…山会の文章は、やはり滑稽なところに重きを置くといったような傾きがあったのでありました。」(高浜虚子「俳句の五十年」-「山会」の朗読、角川文庫『吾輩は猫である』巻末付録、P.567)
[11]
문서
寒川鼠骨が朗読したと漱石は証言している。座談「文学談」(明治39年9月「文学界」)。(参考)角川文庫『吾輩は猫である』巻末付録、P.561
[12]
웹사이트
夏目漱石先生の追憶
https://www.aozora.g[...]
[13]
서적
週刊YEARBOOK 日録20世紀
講談社
1998
[14]
서적
集英社文庫「吾輩は猫である」下
[15]
문서
一方で明治41年9月「文章世界」に漱石は『処女作追懐談』を公表し、その中で「始めて『吾輩は猫である』というのを書いた。ところが虚子がそれを読んで、これはいけませんと云う。訳を聞いて見ると段々ある。今はまるで忘れて仕舞ったが、兎に角もっともだと思って書き直した。」と書いている。(参考)角川文庫『吾輩は猫である』巻末付録、P.560
[16]
문서
「漱石は『吾輩は猫である』の第一節を書き終えたときに、どういうタイトルを付けたらよいか迷っていた。『猫伝』にするか、それとも『吾輩は猫である』にするか、なかなか決められず、最後に高浜虚子に相談したところ、高浜虚子は『吾輩は猫である』がいいと決めたのである」
李国棟
1997
[17]
문서
第1回、第2回の連載号は完売し、夏目の「坊つちやん」と同時掲載となった第10回掲載号は5,500部を発行するに至る。これは総合雑誌「中央公論」と同程度であった。
[18]
서적
岩波書店「定本 漱石全集」
[19]
서적
夏目漱石
https://dl.ndl.go.jp[...]
岩波書店
1938
[20]
웹사이트
夏目漱石先生の追憶
https://www.aozora.g[...]
[21]
문서
この点については「学者的作家として、思想の表現が豊かな点は一致するが、鴎外は精緻で正確な実証的態度を崩さず、漱石は闊達で拘束のない立場で構想を恣(ほしいまま)にしたという相違がある」との批評がある。
岡崎義恵
1969
[22]
서적
集英社文庫「吾輩は猫である」下
[23]
문서
『吾輩は猫である』の内容が『牡猫ムルの人生観』に影響を受けているかについては、影響を受けているとする藤代素人、秋山六郎兵衛、板垣直子らの論と、着想を得たのみで内容にまでは影響を受けていないとする吉田六郎、石丸静雄ら、ホフマンあるいは「カーテル・ムル」の存在に接する機会はあったが参照された確証がなく内容としても影響を受けた形跡がないとする大村喜吉、塚本利明、山本健吉、石崎等らの論が混在する。
[24]
문서
このほかに丸谷才一の説があり次のようなものである。丸谷が仙台文学館の初代館長になった井上ひさしに電話をかけ、19世紀初頭によく読まれた『ポピー・ザ・リトル』という俗小説が、子犬が上流から下流階級まですべてを見て回りその見聞を猛烈な社会批判にしているという内容で、漱石がこれを知って『吾輩』を書いたと考えられると言った。すると東北大学の漱石文庫にはないが、これを評価したTHE ENGLISH NOVEL(Walter Raleigh)があるので、何らかの印がないか学芸員に見てきてもらえないかとひさしは依頼した。翌日、学芸員が確認すると、『ポピー・ザ・リトル』の項に、はっきりと線が引かれていた(笹沢信『ひさし伝』新潮社 2012年 pp.390f.)。
[25]
문서
なお動物が語り部となる動物寓話の系譜は欧州では珍しくなくイソップにも多くの類例が採録されている。
[26]
서적
しかしこういう筋の発展のない小説を十一回にもわたって漱石が確信をもって書いたということは、彼が『トリストラム・シャンディーの生涯と意見』のような小説があることを知っていたことから来ていることは明らかである。
新潮文庫版『吾輩は猫である』の解説
2004
[27]
서적
思考のレッスン
文春文庫
2012
[28]
문서
塚本利明によるとホフマン「カーテル・ムル」もまたローレンス・スターン『トリストラム・シャンディ』の影響を強く受けた作品の1つであり、「猫」と「カーテル・ムル」が類似するのは「トリストラム・シャンディ」という共通の材源を多く持つからであるとする。
塚本利明
2007
[29]
웹사이트
神田お散歩MAP 夏目漱石の碑
http://www.fa-right.[...]
株式会社ライト
2017-04-23
[30]
문서
第二話「ええあの表通りの教師の所にいる薄ぎたない雄猫でございますよ」
[31]
문서
淡島寒月によれば、猫を芸妓の比喩として言い出したのは仮名垣魯文であり(淡島寒月「明治十年前後」)、李国棟によれば仮名書魯文にとって猫は自身の表象であり、漱石にとっては下品な戯作作家の表象であった。
https://www.aozora.g[...]
1997
[32]
문서
漱石はのちのエッセイ集硝子戸の中で自身に多大な影響を与えた兄(夏目大助)が相当年上の上級生から艶書を付けられ閉口し「学校の風呂でその男と顔を見合せるたびに、きまりの悪い思をして困った」と述べたことを記述している。
[33]
문서
第一話では三毛君と呼ばれ「三毛君は代言の主人を持っている」と設定された。
[34]
문서
第十話で生徒の古井が訪問してきた際に「文明中学二年生古井武右衛門」と表現されていることから、文明中学の教員である設定である。
[35]
문서
「猫」第一が公表されると、漱石のまわりではモデルについての評判が立てられたようで、漱石は門下生の野間真綱にあてて「猫伝中の美学者は無論大塚の事ではない大塚は誰が見てもあんな人ぢゃない。…主人も僕とすれば僕他とすれば他どうでもなる。」と書いている(明治38.1.1付書簡)。
遠藤祐
1960
[36]
문서
「金田君の令嬢安倍川の富子さえ寒月君に恋慕したと云う噂である。」「寒月君は苦味ばしった好男子で、・・・金田富子嬢を優に吸収するに足るほどな念入れの制作物である。」
[37]
논문
「寒月君」と寺田寅彦 : 西洋文明としての近代科学
https://twcu.repo.ni[...]
東京女子大学比較文化研究所
[38]
서적
吾輩は猫である
集英社文庫
[39]
논문
メリメを通してみた近代日本文学空間のありかた : 漱石、鏡花、三重吉、芥川、堀、三島の場
https://doi.org/10.1[...]
九州大学
[40]
웹사이트
処女作追懐談
https://www.aozora.g[...]
角川文庫
1908-09
[41]
논문
漱石とメリメ : 『吾輩は猫である』における『カルメン』の水浴
https://doi.org/10.1[...]
九州大学大学院比較社会文化学府比較文化研究会
2011-12
[42]
서적
広島県医人伝
http://www.hiroshima[...]
江川義雄
2024-05
[43]
논문
尼子四郎と夏目漱石
https://doi.org/10.7[...]
日本医学図書館協会
[44]
뉴스
医学情報 110年の蓄積
日本経済新聞
2013-06-21
[45]
웹사이트
ステテコの、鼻の、初代三遊亭圓遊
http://www.app-beya.[...]
エーピーピーカンパニー
2024-06-09
[46]
논문
夏目漱石における「猫」について
https://doi.org/10.1[...]
[47]
웹사이트
吾輩は猫である
https://www.aozora.g[...]
大倉書店
1906
[48]
논문
夏目漱石『吾輩は猫である』第三章を読む―名前のない猫と登場人物―
https://nagoya.repo.[...]
名古屋大学大学院国際言語文化研究科日本言語文化専攻
2008-03
[49]
웹사이트
御三・御三どん
https://kotobank.jp/[...]
[50]
논문
この道をかくゆく : 近代女性俳人伝(2)博多の文芸サロンの女主人……久保より江
https://ndlsearch.nd[...]
東京 : 本阿弥書店
2019-02
[51]
웹사이트
トリストラム・シャンディの生涯と意見
https://kotobank.jp/[...]
[52]
서적
吾輩は猫である
集英社文庫
[53]
서적
吾輩は猫である
集英社文庫
[54]
서적
文章道と漱石先生
https://dl.ndl.go.jp[...]
春陽堂
1919
[55]
논문
翻訳一斑
http://repo.beppu-u.[...]
別府大学会
2015-02
[56]
논문
『吾輩は猫である』の土壌 : 響き合うことば
https://aska-r.repo.[...]
愛知淑徳大学国文学会
2006-03
[57]
서적
吾輩は猫である
角川文庫
[58]
문서
漱石の思い出
[59]
웹사이트
橡麺棒
https://kotobank.jp/[...]
[60]
웹사이트
幻覚ねこブログ
https://plaza.rakute[...]
2018-09-24
[61]
논문
[62]
웹사이트
太陽
博文館
1905-10
[63]
문서
郁文館中学校・高等学校
[64]
논문
夏目漱石と藤代素人―『吾輩ハ猫デアル』を巡って―
https://oiu.repo.nii[...]
守口 : 大阪国際大学
2017-03
[65]
웹사이트
郁文館と寄宿舎
https://www.ikubunka[...]
2017-09-08
[66]
논문
『吾輩は猫である』と『文学論』 : 作家的出発をめぐる考察 その二
https://www.i-reposi[...]
山梨県立女子短期大学
1983-03
[67]
웹사이트
東北大学漱石文庫・澤菴廣録(明治39)
https://touda.tohoku[...]
[68]
웹사이트
不動智神妙録
https://dl.ndl.go.jp[...]
[69]
웹사이트
夏目漱石の猫の死亡通知
https://sybrma.sakur[...]
岩波書店
[71]
뉴스
名前はないが日本一有名な「吾輩(わがはい)」のモデルだった
日本経済新聞
2014-09-13
[72]
웹사이트
漱石文庫関係文献目録
https://www.library.[...]
東北大学附属図書館
2012-11-25
[73]
서적
吾輩は猫である
集英社文庫
[74]
웹사이트
夏目先生の追憶
https://www.aozora.g[...]
[75]
서적
決定版 三島由紀夫全集〈補巻〉補遺・索引
新潮社
2005-12
[76]
웹사이트
三島由紀夫文学館**新資料紹介
http://www.mishimayu[...]
三島由紀夫文学館
2009-02-26
[77]
웹사이트
吾輩は主婦である
https://www.tbs.co.j[...]
[78]
웹사이트
吾輩は猫であるについて
https://tokyo-festiv[...]
[79]
서적
全記録 テレビ視聴率50年戦争―そのとき一億人が感動した
講談社
2004
[80]
웹사이트
吾輩は猫である
https://mediaarts-db[...]
2022-12-17
[81]
웹사이트
漱石の原作を大胆に脚色!幻の漫画付き『坊っちゃん』と『吾輩は猫である』が復刊
https://serai.jp/hob[...]
2017-04-18
[82]
웹사이트
吾輩は猫である
https://smart-book.j[...]
2024-11-11
[83]
웹사이트
オペラ『吾輩は猫である』
https://www.konnyaku[...]
2024-06-09
[84]
웹사이트
吾んねー猫どぅやる
https://ndlsearch.nd[...]
2024-06-09
[85]
웹사이트
吾んねー猫どぅやる 完結編
https://ndlsearch.nd[...]
2024-06-09
[86]
서적
それからの漱石の猫
https://iss.ndl.go.j[...]
日本書院
1920
[87]
서적
續吾輩は猫である
https://iss.ndl.go.j[...]
勉誠社
1997
[88]
서적
続吾輩は猫である 復刻
https://honto.jp/net[...]
[89]
웹사이트
贋作吾輩は猫である
https://ndlsearch.nd[...]
2024-06-09
[90]
서적
贋作吾輩は猫である: 内田百閒集成
https://books.google[...]
筑摩書房
2003-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